공시지가 조회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는 세금을 낼 때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잘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를 통해 공시지가를 확인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로 바로 가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년 만에 공시지가 하락!
뉴스에서 올해 공시가격이 10년 만에 역대 최대로 하락되었다고 합니다. 공시가격을 낮춰 세금부담을 줄이겠다는 목적인데요. 공시가격은 정부가 조사해 산정한 가격으로 부동산 가격의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세금 때문입니다. 공시가격은 종부세, 재산세 등 각종 세금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토지 및 건축물의 가격을 기준으로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게 되는데요. 이때 공시지가는 토지의 가격을 의미하고, 공시가격은 주택에 대한 가격입니다. 따라서 아파트나 주택은 공시지가가 아닌 공시가격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공시지가란? 정확히 알고 가기
공시지가는 매매 금액과는 다른 의미로, 정부에서 평가사를 통해 정한 토지 가격입니다. 정확히는 토지의 단위면적 당 가격으로, 땅의 가치를 매긴 값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는데, 땅값을 확인하실 때는 개별 공시지가로 보시면 됩니다.
아파트나 빌라 등 주택의 가격은 공시가격이라고 합니다. 보통 주택을 보유함으로써 발생되는 세금들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됩니다. 또 다른 용어 중 하나는 기준시가인데요. 기준시가는 쉽게 말하면 토지와 건축물을 모두 합한 가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부동산 세금과 연관이 깊기 때문에 정확하게 숙지해 두시면 좋습니다.
1. 공시지가(토지) : 토지의 면적 당 가격
- 표준지공시지가 : 대표되는 토지 50만 필지를 평가사가 판단하여 해당 토지에 대한 값을 매긴 것
- 개별 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주변 토지를 평가한 것
2. 공시가격(주택)
- 주택에 대한 감정 결과 값으로, 주로 세금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건보료, 재산세, 종부세 등을 계산할 때 기준
3. 기준시가(토지 + 건축물)
- 공시지가와 공시가격을 모두 포괄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바로가기
공시지가 조회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공시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땅값을 알아볼 땐 개별공시지가를 확인하시면 되며, 집값은 공시가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먼저 주택 가격인 공시가격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부동산 공시 알리미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하는 가격 조회를 누릅니다. 아파트, 빌라는 공동주택이므로 공동주택 공시가격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단독주택 소유자라면 표준단독주택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주소 검색을 통해 가격을 확인합니다. 이때 동과 호수를 모두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확인해 보면 같은 아파트여도 동이 나 층별에 따라 공시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곳을 정확하게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공시가격은 지난 년도들 것도 함께 나오기 때문에 이전과 최근의 공시가격 차이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토지 가격인 공시지가를 확인하는 방법은 부동산 공시 알리미 사이트에서 개별 공시지가로 들어가 줍니다. 토지는 먼저 시, 군, 구청을 선택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 먼저 선택 후 들어가셔서 주소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만약 기준시가를 알고 싶으시면, 건물 가격 조회 + 토지 가격 조회를 더하시면 됩니다.
- 토지가격 : 개별 공시지가 확인
이상으로 공시지가, 공시가격 뜻과 함께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이용방법 모두 소개해드렸습니다. 앞으로는 공시지가 및 공시가격이 궁금하실 때 부동산 공시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유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계산기 계산방법 (0) | 2023.05.02 |
---|---|
장애인 연금 지급대상 확인하기 (0) | 2023.04.26 |
실업급여 신청방법 완벽정리 (0) | 2023.04.19 |
실업급여 조건 알고가기 (0) | 2023.04.19 |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쉽고 간단하게! (0) | 2023.04.17 |